■ 출연 : 이현웅 아나운서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굿모닝 와이티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1월 29일 월요일입니다. 굿모닝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가장 먼저 조선일보 기사 보겠습니다. <br />최근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딥페이크 이미지가 SNS를 통해순식간에 퍼져나간 일이 발생했습니다. 이를 계기로 미국 정치권에선딥페이크를 규탄하는 목소리가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한 사이버 보안회사에 따르면작년 온라인에 올라온 딥페이크 영상 수는9만 5천여 건으로, AI가 본격 확산되기전인 2019년 1만 4천여 건에 비해 550% 증가했습니다. 또 국내에서도 관련 피해 사례가3년 사이 10배 넘게 폭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딥페이크의 범람은 진실과 거짓의 경계를사라지게 만들고 있는데요. 기사에는 일부 정치인들이 불리한 상황이나곤경에 빠지면 딥페이크라고 우기는 경우들도 생기고 있다고 전합니다.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실언과 실수를 모아놓은 폭스뉴스 광고에 대해 "AI가 만들어낸 가짜"라고 주장한 적 있고요. 또 타이완과 인도에서도 부적절한 모습과음성이 유출된 정치인들이 모두 "조작된 것"이라며 반박하는 일이 있었습니다. AI가 낳는 문제가 심각해지자빅테크들은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데요.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기술에 안전장치를설치하겠다고 했고 옛 트위터 'X'는AI에게 맡겼던 콘텐츠 검수를 다시 사람에게 맡기겠다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동아일보 기사입니다. <br />대선을 앞둔 미국에선 딥페이크와 더불어스와팅도 문제라고 합니다. 이 스와팅은 미국 특수기동대, SWAT에서 따온 신조어인데요. 경찰이 대응하도록 허위 신고를하는 걸 말합니다. 집에 폭탄 테러를 할 거라고 하거나누군가를 총으로 쏠 거라고 예고하는 식인데 주로 정치인, 행정부나 사법부 관계자 등을대상으로 하는 신종 정치폭력입니다. 최근 미국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변 인물과 트럼프 전 대통령 재판과 관련된 인사,현재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서고 있는니키 헤일리 전 주유엔 미국대사 등이스와팅 피해를 당한 걸로 전해집니다. 미국 FBI는 스와팅에 대해대응 요원들이 허위 신고를 받고 현장에 투입되면 결국 치안 공백이 생겨 지역 주민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경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기후동행카드에 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2907192248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